[여주 여행] 여주 신륵사의 유래와 유물들
신록이 푸르름을 더해가는 가정의 달 5월입니다. 봄비도 자주 오고 여행도 다니기 좋은 계절 여주 신륵사엘 다녀왔지요. 여주 하면 도자기와 신륵사, 세종대왕릉이 떠오르는데 여주 도자기 축제도 이제 막바지에 접어 들어가고 있지요. 특산물도 여러 가지가 있는 고장이라 다닐만해요.
목차
1. 여주 신륵사의 유래
2. 여주 신륵사의 유물들
3. 여주 신륵사의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 자료
4. 여주 신륵사의 위치 및 정보
1. 여주 신륵사의 유래
🍀여주 신륵사의 유래
✅원효대사 창건 설화: 신라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꿈속에서 흰옷을 입은 노인으로부터 현재의 절터에 있는 연못을 가리키며 가람을 지으라는 계시를 받았습니다. 원효대사가 7일 동안 기도를 올리자 연못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하였고, 그 자리에 신륵사를 창건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설화에서 '구룡루(九龍樓)'라는 누각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나옹선사 또는 인당대사 용마 제압 설화: 고려 우왕 때, 현재 신륵사 인근의 마암(馬巖)이라는 바위 근처에 사나운 용마(龍馬)가 나타나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이때 나옹선사(懶翁禪師)가 신기한 굴레를 사용하여 그 용마를 순하게 길들였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인당대사(印塘大師)가 신력으로 용마를 제압하여 '신령스러운 힘으로 제압했다'는 의미의 '신륵(神勒)'이라는 이름이 절 이름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남한강 치수 염원 설화: 남한강의 잦은 범람으로 인해 백성들의 피해가 컸는데, 지세가 약한 곳에 절을 세워 홍수 피해를 막고자 하는 염원에서 '신륵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신륵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고려 말에는 나옹선사가 머물면서 크게 중창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英陵)의 원찰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보은사(報恩寺)'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며, 아름다운 남한강변에 위치한 고찰로서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여주 신륵사의 유물들
🍀여주 신륵사의 유물들
✅보물 제180호: 여주 신륵사 조사당(驪州 神勒寺 祖師堂) - 조선시대 초기의 건축물로, 지공, 나옹, 무학대사의 영정을 모시고 있습니다. 간결하면서도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줍니다.
✅보물 제225호: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驪州 神勒寺 多層石塔) - 조선시대 전기의 백색 대리석 석탑으로, 독특한 형태와 섬세한 조각이 돋보입니다.
✅보물 제226호: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驪州 神勒寺 多層塼塔) - 고려시대의 벽돌탑으로, 남한강변 언덕 위에 위치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보물 제228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 고려 말의 고승인 보제존자 나옹의 사리탑으로, 석종형 부도의 초기 양식을 보여줍니다.
✅보물 제229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 - 보제존자 나옹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으로, 고려 우왕 5년(1379)에 건립되었습니다.
✅보물 제230호: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 - 조선시대의 비석으로, 신륵사 대장각의 건립 경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보물 제231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 - 고려시대의 석등으로, 보제존자 석종 앞에 세워져 있습니다.
✅보물 제1791호: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 조선 후기의 목조 불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3. 여주 신륵사의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여주 신륵사의 유형문화재및 문화재자료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驪州 神勒寺 極樂寶殿) - 아미타불을 모시는 전각으로,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줍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5호: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 석조부도(驪州 神勒寺 八角圓堂形 石造浮屠) - 조선시대의 팔각원당형 부도입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여주 신륵사 건륭삼십팔년명 동종(驪州 神勒寺 乾隆三十八年銘 銅鐘) - 조선 영조 49년(1773)에 제작된 동종입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驪州 神勒寺 極樂寶殿 三藏菩薩圖) -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의 불화입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驪州 神勒寺 三層石塔) - 남한강변 강월헌 옆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입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4호: 여주 신륵사 원구형 석조부도(驪州 神勒寺 圓球型 石造浮屠) - 조선시대의 원구형 부도입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6호: 여주 신륵사 청동시루(驪州 神勒寺 靑銅시루) - 조선시대의 청동으로 만든 시루입니다. 현재 용주사 효행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여주 신륵사 삼화상 진영(驪州 神勒寺 三和尙 眞影) - 신륵사에 봉안된 세 분 고승의 초상화입니다.
4. 여주 신륵사의 위치 및 정보
🍀여주 신륵사의 위치및 정보
✅주소: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우) 12636
✅입장시간: 상시
✅☎️031-885-2505
✅주차가능, 예약가능
✅위치정보
2025.04.10 - [여행 & 맛집] - [이천 여행] 이천 도립리 반룡송의 유래와 특징,천연기념물로지정된 이유
[이천 여행] 이천 도립리 반룡송의 유래와 특징,천연기념물로지정된 이유
[이천여행] 이천 도립리 반룡송의 유래와 특징,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유 독특한 모양과 역사적 가치로 인해 이천시의 관광명소로 자리매김하는데 들어가는 진입로나 이정표가 다소 이해가
hks1202.com
2025.05.01 - [여행 & 맛집] - [태안 여행] 바닷가 아름다운곳,부상탑이 있는 안면암이 태안여행에 필수
[태안 여행] 바닷가 아름다운곳,부상탑이 있는 안면암이 태안여행에 필수
[태안 여행] 바닷가 아름다운 곳, 부상탑이 있는 안면암이 태안여행에 필수 얼마 전에 다녀온 태안 여행에서 다시 가보고 싶은 곳이 바로 안면도의 안면암입니다. 예전에는 부상교가 있었는데
hks1202.com
'여행 &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여행] 교동수제쌀찐빵 과 커피의 어울림 (1) | 2025.05.07 |
---|---|
[강화 여행] 강화 교동도 망향대의 유래와 특징,설립목적 (3) | 2025.05.06 |
[서산 여행] 겹벚꽃 명소 서산 문수사의 유래와 특징,매력은 (4) | 2025.05.01 |
[태안 여행] 바닷가 아름다운곳,부상탑이 있는 안면암이 태안여행에 필수 (3) | 2025.05.01 |
[이천 여행] 이천 도립리 반룡송의 유래와 특징,천연기념물로지정된 이유 (1) | 2025.04.10 |